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전자여권과 일반여권의 차이

by 쩡알쫑알 2025. 4. 22.
반응형

해외여행, 유학, 출장은 물론 단기 방문까지 여권은 반드시 필요한 신분증입니다. 최근에는 전자여권과 일반여권이라는 명칭이 혼용되어 사용되면서 어떤 여권을 발급받아야 하는지 혼란스러워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전자여권과 일반여권의 차이, 신청 방법, 발급 비용까지 한눈에 알기 쉽게 정리해드립니다.

1. 전자여권과 일반여권이란?

전자여권은 여권 내부에 전자 칩(IC칩)이 내장된 형태의 여권으로, 이 칩에는 여권 소지자의 인적사항과 사진, 지문 등의 개인정보가 저장됩니다.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기준에 따라 제작되며, 위·변조 방지 기능이 뛰어나고 출입국 자동심사대(자동 게이트)를 사용할 수 있는 등 편의성이 높습니다. 우리나라는 2008년부터 전자여권을 발급하기 시작했으며, 2021년부터는 차세대 디자인으로 새롭게 개편된 전자여권이 발급되고 있습니다.

반면 일반여권은 전자 칩이 없는 구형 여권으로, 과거에 널리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거의 발급되지 않습니다. 일부 외교관용 여권이나 특수 목적 여권은 일반여권 형식으로 발급되기도 하지만, 일반 국민이 신청할 수 있는 일반여권은 현재 기준으로 대부분 중단된 상태입니다. 따라서 지금 여권을 새로 발급받거나 갱신할 계획이라면 전자여권을 기준으로 준비하셔야 합니다.

2. 전자여권과 일반여권의 차이

전자여권은 IC칩이 내장되어 있어 보안성이 높고, 자동 입출국 심사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반면 일반여권은 전자 칩이 없어 정보가 수기 또는 기계판독 방식으로만 저장되며, 자동심사 게이트를 이용할 수 없고 보안성도 떨어집니다.

전자여권은 외관상 표지 색상이 녹색이며 디자인이 최신화되어 있고, 대부분의 국가에서 신뢰도 높은 여권으로 인식됩니다. 일반여권은 구형 디자인으로 과거에는 갈색 표지가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 추세입니다.

사용 편의성과 국제적 활용도를 고려할 때, 전자여권이 현시점에서는 사실상 기본적인 여권 형태라고 할 수 있습니다.

3. 전자여권 및 일반여권 신청 방법

전자여권과 일반여권의 신청 방법은 기본적으로 동일하며, 전국의 시청, 구청, 군청 등 여권 발급이 가능한 민원실에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정부24를 통해 온라인으로 여권 발급을 사전 예약한 뒤 지정된 장소를 방문해 신청하는 방식도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신청 시 필요한 서류는 여권 발급 신청서(현장에서 작성 가능), 주민등록증이나 운전면허증 같은 신분증, 여권용 사진 1매입니다. 사진은 최근 6개월 이내에 촬영한 3.5×4.5cm 크기의 흰 배경 컬러사진이어야 하며, 규격을 지키지 않으면 접수가 거부될 수 있습니다.

미성년자의 경우 부모나 법정대리인의 동의서와 함께 동행이 필요하며, 기존 여권이 있을 경우에는 반드시 반납하거나 함께 제출해야 재발급이 가능합니다. 일반여권은 현재 거의 발급되지 않기 때문에, 신청 시 기본적으로 전자여권이 접수됩니다.

4. 전자여권 발급 비용

전자여권은 면수와 유효기간에 따라 발급 비용이 달라집니다. 성인의 경우, 유효기간 10년짜리 전자여권은 48면 기준 53,000원이며, 면 수를 줄인 24면 여권은 50,000원이 부과됩니다. 8세 이상 18세 미만의 청소년은 일반적으로 유효기간 5년짜리 전자여권을 신청하게 되며, 발급 비용은 대략 45,000원 내외입니다. 8세 미만의 어린이 여권은 5년 유효기간으로 약 30,000원 정도가 부과됩니다.

단수여권이나 긴급여권의 경우 사용 횟수가 제한되어 있으며, 보통 15,000원~20,000원 수준으로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지자체에 따라 납부 방식이 다를 수 있으므로, 방문 전 카드결제 가능 여부나 현금 준비 여부를 확인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전자여권이 표준이며, 보안성과 편의성 면에서 일반여권보다 월등히 뛰어납니다. 일반여권은 사실상 신규 발급이 중단된 상태이므로, 새로운 여권이 필요한 경우라면 전자여권 발급을 준비하시는 것이 가장 확실한 선택입니다. 이 글을 참고하여 전자여권과 일반여권의 차이를 정확히 이해하고, 여권 발급을 미리미리 준비해보시기 바랍니다.

-

다른 글들

 

부부 증여세 면제 한도액 (부부간 증여)

부부 사이에서 재산을 이전하거나 공동 명의로 자산을 등록하는 경우는 매우 흔합니다. 하지만 아무런 세금 문제 없이 증여가 가능한 것은 아닙니다. 특히 증여세는 부부 간에도 적용되므로 정

thanksblo.com

 

 

종합소득세 환급금 조회 방법 (2025)

5월은 종합소득세 신고의 달입니다. 많은 분들이 세금을 더 내야 하는 걱정을 하지만, 실제로는 세금을 돌려받는 환급 대상자도 많습니다. 종합소득세 환급은 본인이 낸 세금보다 실제로 내야

thanksblo.com

 

 

농업경영체 등록 온라인 서비스 (바로 확인)

농업에 종사하는 분들이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것이 바로 농업경영체 등록입니다. 이제는 복잡한 방문 절차 없이, ‘농업경영체 등록 온라인 서비스’를 통해 집에서도 손쉽게 등록할 수 있어

thanksblo.com

반응형